잰이_IT/자격증_ 정보처리기사_필기

정보처리기사 필기 (2017년 3회 기출문제)

janey25 2018. 8. 14. 16:25

정보처리기사 필기 (2017년 3회 기출문제)_5과목 데이터 통신


 

82. IPv6의 주소체계로 거리가 먼 것은?

Unicast

Anycast

Broadcast

Multicast

  -> IPv4 의 주소 공간 부족으로 만들어짐, 총 128bit 로 구성된 주소체계로 헤더가 간소화 되었다.

그만큼 라우팅을 빨리 처리 할 수 있고, Plug and Play 지원, 자동으로 호스트 Ip구성.

IPsec을 통해 데이터 무결성(integrity) 과 기밀(Confidentiality) 보장

전송 방식에는 유니캐스트, 멀티 캐스트, 애니캐스트   / IPv4는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83. TCP/IP에서 사용되는 논리주소를 물리주소로 변환시켜 주는 프로토콜은?

TCP

ARP

ETP

IP

 -> ARP : 호스트의 IP주소(논리 주소)를 호스트와 연결된 네트워크 접속장치의 물리적 주소(MAC 주소)로 변환

     TCP : OSI 전송계층, 신뢰성있는 연결형서비스 제공, 패키 다중화, 순서제어, 오류제어, 흐름제어 기능 제공

     IP : OSI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 그램 기반 비연결형 서비스, 패킷 분해/조립, 주소지정, 경로선택기능 제공


85. 10Base-5 이더넷의 기본 규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전송매체는 동축케이블을 사용한다.

최대 전송 거리는 50km이다.

전송방식은 베이스밴드 방식이다.

데이터 전송속도는 10Mbps이다.

 -> CSMA/CD 방식 의 이더넷(LAN) 시스템 규격중 하나.

채널 사용권을 경쟁확보 방식으로 노드간 충돌 허용 네트워크 접근방식

그중 10Base-5 는 굵은 동축 케이블을 이용, 5는 한세그먼트의 최장거리가 500m임을 나타내고 

Base 는 베이스 밴드 방식,10은 전송속도가 10Mbps임을 나타낸다.

 

87. 데이터 교환 방식 중 축적교환 방식이 아닌 것은?

메시지 교환

회선 교환

가상회선

데이터그램

 -> 데이터 교환은  회선 교환 방식과 축적 교화 방식등으로 나누어진다.

축적 교환 방식은 송신 측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송신 측 교환기에 저장시켰다가 이를 다시 적절한 통신 경로를 선택, 수신측 터미널에 전송하는 방식이다. 메세지 교환방식과 패킷 교환 방식이 있으며 패킷 교환방식은 가상회선 방식과 데이터 그램 방식으로 나눠진다.



 88. 라우팅 프로토콜인 OSPF(Open Shortest Path Firs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멀티캐스팅을 지원한다.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이라고도 한다.

네트워크 변화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최단 경로 탐색에 Dijkstra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 OSPF 는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은 RIP


89. 패킷교환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데이터그램과 가상회선 방식으로 구분된다.

저장 전달 방식을 사용한다.

전송하려는 패킷에 헤더가 부착된다.

노드와 노드 간에 물리적으로 전용통신로를 설정하여 데이터를 교환한다.

 -> 패킷 교환 방식은 메세지를 일정한 길이의 패킷으로 잘라서 전송하는 방식으로 OSI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한다.

수신측에서 분할 패킷을 재조립해ㅑ 하고 응답시간이 빠르며 대화형 응용이 가능하다.

음성보단 데이터 전송에 더 적합하고 실패시 재전송이 가능하다. 속도조절과 코드변환이 가능하고

패킷 단위로 헤더를 추가하므로 패킷별 오버헤드가 발생할 수 있다.


90. 이동통신 가입자가 셀 경계를 지나면서 신호의 세기가 작아지거나 간섭이 발생하여 통신 품질이 떨어져 현재 사용 중인 채널을 끊고 다른 채널로 절 체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Mobile Control

Location registering

Hand off

Multi-Path fading

 

91. ATM에 사용되는 ATM cell의 헤더와 유로부하(payload)의 크기는 각각 몇 옥텟(octet)인가?

헤더는 2옥텟, 유로부하는 47옥텟이다.

헤더는 3옥텟, 유로부하는 47옥텟이다.

헤더는 4옥텟, 유로부하는 48옥텟이다.

헤더는 5옥텟, 유로부하는 48옥텟이다.

 

92. OSI 7계층에서 물리적 연결을 이용해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전송 하려고 동기화, 오류제어, 흐름제어 등의 전송에러를 제어하는 계층은?

데이터 링크 계층

물리 계층

응용 계층

표현 계층

 -> 데이터 링크 : 2개 인접 개방 시스템 간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정보 전송을 할 수 있게함, 흐름 오류 순서 제어, 프레임 동기화

물리 : 전송에 필요한 두 장치간 실제 접속과 절단 등에 필요한 전송 매체의 기계, 전기, 기능, 절차적 특성 규칙 정의

응용 : 사용자 OSI 환경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

표현 : 응용 계층으로 부터 받은 데이터를 세션에 맞게 세션 꺼는 응용에 맞게 변환, 코드 변환, 데이터 암호화, 데이터 압축, 

               구문검색, 정  보 형식 변환, 문맥 관리 기능

네트워크 : 개방 시스템들 간 네트워크 연결 관리, 데이터 교환 및 중계, 경로설정(라우팅) , 트래픽 제어, 패킷 정보 전송

전송: 종단 시스템 간 투명한 데이터 전송 가능 , 전송 연결 설정, 데이터 전송, 연결 해제, 주소 다중화 오류, 흐름 제어

세션 : 송수신측간 관련성 유지, 대화 제어 담당, 대화 구성및 동기제어, 데이터 교환 관리


93. SONET(Synchronous Optical Network)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광전송망 노드와 망간의 접속을 표준화한 것이다.

다양한 전송기기를 상호 접속하기 위한 광신호와 인터페이스 표준을 제공한다.

STS-12의 기본 전송속도는 622.08 Mbps이다.

프레임 중계서비스와 프레임 교환 서비스가 있다.

 -> SONET 이란 동기식 광통신망이다.

프레임은 데이터 링크 제어의 기본 단위이다.


 94. 192.168.1.222/28라는 IP가 소속되어 있는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로 옳게 나열한 것은?

192.168.1.96, 192.168.1.127

192.168.1.192, 192.168.1.255

192.168.1.208, 192.168.1.223

192.168.1.224, 192.168.1.239.

-> IP 주소 구하는 문제! 네트워크 주소는 해당 서브넷의 시작주소,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해당 서브넷 마지막 주소


97. Hamming distance5일 때 검출 가능한 에러 개수는?

4

5

6

7

-> 해밍 코드는 오류 검출 방식중 하나로 수신측에서 오류 발생 비트 검출 후 직접 수정하는 방식이다. 

1비트의 오류만 수정 가능하며 정보 비트 외 잉여 비트를 필요로 한다. 

자기 정정 부호의 하나로 비트 착오를 검출 하므로 1bit 착오 정정 부호가 들어간다.

해밍 거리란 송신 비트와 수신 비트중 서로 다른 비트의 수 를 말한다( 오류비트 ) 

 

99. 동기식 문자 지향 프로토콜 프레임에서 전송될 문자의 시작을 나타내는 제어 문자는?

DLE

STX

CRC

SYN

 -> STX : Start to text

DLE : Data Link Escape : 전송 제어 문자 앞에 삽입하여 저송 제어 문자임을 알림

CRC : 순환 중복 검사, 오류 검출 방식중 하나로 다항식 코드를 사용해 검출, 동기식에서 사용하고 집단검출가능 많이씀

SYN : SYNchronous Idle : 문자 동기


100. 디지털 부호화 기술에서 음성신호의 통계적 특성을 이용하여 적응적으로 예측하고 양자화 하는 방식은?

AM

FM

PM

ADPCM

- > 아날로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 AM, FM, PM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 PCM

- ADPCM은 PCM 의 한종류로 양자화 과정을 거친다.